2018 북한연감

북한연감 2018

  •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9월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에 대응해 직접 본인 명의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2일 보도했다. 사진은 연설문을 손에 들고 성명을 읽는 김정은 모습.
  • 조선중앙통신이 11월 29일 보도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 시험 발사 모습.
  • 조선중앙통신이 4월 16일 평양 려명거리 준공식이 개최 되었다고 보도하며 이 사진을 공개 했다. 촬영날짜는 밝히지 않았다.
  • 12월 11일 평양에서 제8차 군수공업대회가 개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2일 보도했다.
  • 12월 15일 일본에서 열린 ‘2017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 여자부 3차전에서 일본을 2 대 0으로 꺾고 3회 연속 우승한 북한 여자 축구대표팀이 시상대에 올라 우승컵을 들고서 환호하고 있다.

초점

  • 북한의 핵무력 완성 선언

    북한의 핵무력 완성 선언

    북한은 2018년 한 해 동안 6차 핵실험과 잇단 탄도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며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켰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2018년 신년사에서 “대륙간탄도로케트 시험 발사 준비사업이 마감 단계”라고 주장하면서 탄도미사일 발사를 멈추지 않았다. 2018년에만 총 15회, 20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 뒤인 7월 4일에는 첫 ICBM급 화성-14형 시험 발사를 했고,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정상 각도 발사 등 도발을 이어갔다. 11월 29일 또 다른 ICBM급 화성-15형을 발사한 뒤 “국가 핵무력 완성의 역사적 대업”이 실현됐다고 선언했다. 북한은 9월 3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역대 ...

  • 외국공항서 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피살

    외국공항서 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피살

    2월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각각 인도네시아, 베트남 국적인 여성 2명으로부터 화학무기인 맹독성 신경작용제 ‘VX’의 공격을 받아 살해되면서 국제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말레이시아 경찰이 북한인 남성 4명을 암살을 지시하고 관여한 용의자로 지목하면서 사건의 배후가 김정은 정권이라는 것이 국제사회의 인식으로 굳어졌으나 북한은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김정남 암살사건은 이후 미국이 11월 북한을 2008년 이후 9년 만에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북한 10대 뉴스

  • 트럼프-김정은, 북핵 둘러싼 ‘희대의 말폭탄’

    북한이 국제사회의 압력에 아랑곳하지 않고 핵탄두, 장거리 미사일 시험을 이어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설전이 한동안 지구촌 국제뉴스면을 뜨겁게 달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행정부가 견지해 온 대북정책의 골간인 ‘전략적 인내’가 틀린 것으로 증명됐다며 어느 때보다 북한에 호전적 위협을 가했다. 그는 8월 미국 취재진을 만나 “북한이 미국을 위협하면 지금껏 보지 못한 ‘화염과 분노’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9월 유엔 총회 연설에서는 “미국은 엄청난 힘과 인내가 있지만, 미국과 동맹을 방어해야만 한다면 우리는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이 없을 것” ...

목차

전체보기
    • 권두화보
    • 2017년 일지(1월~12월)
    • 북한의 핵무력 완성 선언
    • 외국공항서 김정은 이복형 김정남 피살
    • 개 관
    • 자 연
    • 산 업
    • 사 회
    • 평양직할시
    • 남포특별시
    • 라선특별시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황해남도
    • 황해북도
    • 강원도
    • 자강도
    • 량강도
    • 2018 주요행사 예정표
    • 개 관
    • 정 당
    • 국가기구
    • 사법제도
    • 노동당 회의
    • 최고인민회의
    • 김정은 활동
    • 주요 인사
    • 주요 인물 사망
    • 주요 회의 및 행사
    • 인민군 지휘체계
    • 인민군 동향
    • 군사력
    • 전략무기
    • 군사조직과 제도
    • 북한군 행사·집회·군사외교
    • 개 관
    • 북·미 관계
    • 북·중 관계
    • 북·일 관계
    • 북·러시아 관계
    • 북·유럽 및 유럽연합(EU) 관계
    • 북한과 기타 지역 관계
    • 북한과 주요 국제기구와의 관계
    • 북한이 밝힌 2017년 경제 '성과'
    • 경제지수
    • 무역동향
    • 내각 총리 경제현장 시찰 동향
    • 주요 경제 관련 시설 완공
    • 각 분야별 생산성과
    • 경제 분야 회의 및 행사
    • 법령ㆍ규정 제정 및 개정
    • 내각 및 경제 관료 임명
    • 경제 개발구 설치
    • span동향
    • 개 관
    • 사건·사고
    • 사상교육
    • 단체와 활동
    • 교 통
    • 국토관리 및 환경보호
    • 언 론
    • 교 육
    • 종 교
    • 의 료
    • 명 절
    • 문화 : 공연·무용·음악, 영화, 미술, 출판, 전시, 유적·유물
    • 체육 : 내부대회, 외부대회, 체육인물, 체육계 동향
    • 남북교류 ·협력
    • 2017년 북한 10대 뉴스
    • 주요 연설 및 발표문
    • 주요 기관 및 단체장
    • 1945~1954년
    • 1955~1964년
    • 1965~1974년
    • 1975~1984년
    • 1985~1994년
    • 1995~2004년
    • 2005~2014년
    • 2015~2017년
    • 주요인물동향(1월~12월)
    • 북한 인물

자료편

주요 기관 및 단체장 북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