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북한연감

북한연감 2015

  • 1월 1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신년사를 발표하고 있다.
  •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신년사에서 제시된 과업 관철을 다짐하는 평양시 군중대회가 1월 6일 김일성광장에서 열렸다.
  •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1월 8일 평양체육관에서 데니스 로드먼 등 미국 프로농구(NBA)출신 선수들의 농구경기를 관람하고 있다.
  • 10월 1일 인천 문학경기장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여자 축구 결승전에서 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한 북한 선수단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40일 만에 공개석상에 등장했다. 사진은 10월 14일 지팡이를 짚고 위성과학자주택지구를 현지지도하고 있는 김 제1위원장

특집

  • ‘백두혈통 공주’ 김여정 공식 데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유일한 여동생이자 이른바 ‘백두혈통’의 두 번째 공주인 김여정은 올해 노동당 부부장 직함을 갖고 김정은 체제의 핵심 실세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1987년생인 김여정은 4월 김정은 집권 이래 처음 치러진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 선거 투표 행사 때 김 제1위원장을 수행하며 권력무대에 공식 데뷔했다. 특히 북한 매체는 11월 27일 김정은 제1위원장의 4·26만화영화촬영소 방문을 수행한 김여정의 직급을 ‘로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이라고 처음 공개했다. 현재 그가 일하는 부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김여정이...

  • 북한매체 김정은 3년 업적 선전

    “건축물에서 김정은 시대 발전상 보라”

    리모델링 공사를 마친 송도원야영소 준공식이 5월 2일 열렸다고 조선중앙TV가 밝혔다. 북한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 1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지난해 11월부터 군인들을 대거 투입해 전역의 야영소 중에 본보기로 꼽히는 송도원야영소를 리모델링하는 공사를 시작해 6개월 만에 완공했다. 준공 이후 북한 매체는 이 야영소의 최고급 시설과 야영생들의 반응을 소개하는...

  • 러시아와 협력 강화

    ‘혈맹’이라는 수식어가 곧잘 붙는 북·중 관계는 북한이 2013년 제3차 핵실험을 강행한 이후 내내 삐걱거렸다. 무엇보다 2013년 12월 북한이 최고위급 친중파 인사로 통했던 장성택을 처형하면서 더욱 얼어붙었다는 것이 베이징 소식통들의 공통된 관측이다. 양측의 소원한 관계는 사실상 중단된 고위급 왕래가 여실히 보여준다. 고위급 교류는 류전민(劉振民)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2014년 2월 방북해 박의춘 당시 외무상과 리용호 외무성 부상 등을 만나 6자회담 재개 방안을 논의한 것이 마지막이다. 특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년간 수십 개 국가를...

목차

전체보기
    • 권두화보
    • 2014년 일지(1월~3월)
    • 2014년 일지(4월~6월)
    • 2014년 일지(7월~9월)
    • 2014년 일지(10월~12월)
    • 김정은 체제 3년 평가
    • 김정은 시대 본격…김정일 3주기 행사
    • 개 관
    • 자 연
    • 산 업
    • 사 회
    • 평양직할시
    • 남포특별시
    • 라선특별시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황해남도
    • 황해북도
    • 강원도
    • 자강도
    • 량강도
  • 6.2015 주요행사 예정표
    • 개 관
    • 정 당
    • 국가기구
    • 사법제도
    • 노동당 회의
    • 최고인민회의
    • 내각 회의
    • 김정은 활동
    • 김여정의 등장
    • 주요 인사
    • 주요 인물 사망
    • 주요 회의 및 행사
    • 개 관
    • 인민군
    • 인민군 동향
    • 군사력
    • 전략무기
    • 군사조직과 제도
    • 행사·집회
    • 개 관
    • 북·미 관계
    • 북·중 관계
    • 북·일 관계
    • 북·러시아 관계
    • 북·유럽 및 유럽연합(EU) 관계
    • 북한과 기타 지역 관계
    • 북한과 주요 국제기구의 관계
    • 개 관
    • 경제지수
    • 무역동향
    • 주요 시설물 건립
    • 기구·제도 개편
    • 법령 개정
    • 관료 교체
    • 관광업
    • 농·축산업
    • 보험업·IT산업
    • 내각 확대 전원회의
    • 경제개발구
    • 러시아 경제협력
    • 기타 대외 경제협력
    • 농업 개혁
    • 개성공단
    • 개 관
    • 사건·사고
    • 사상교육
    • 단체와 활동
    • 교 통
    • 국토관리 및 환경보호
    • 언론·언론계 동향
    • 교육·교육계 동향
    • 종교·종교계 동향
    • 의료·의료계 동향
    • 명 절
    • 문화 : 공연·무용·음악,영 화,미 술,출 판, 전 시,유적·유물, 문화계 동향
    • 체육 : 내부대회, 외부대회, 체육인물, 체육계 동향
  • 13.남북교류 · 협력
  • 14.2014년 북한 10대 뉴스
  • 15.주요 기관 및 단체장
    • 1945~54년
    • 1955~64년
    • 1965~74년
    • 1975~84년
    • 1985~94년
    • 1995~2004년
    • 2005~2014년
    • 2014년 주요인물동향(1월~3월)
    • 2014년 주요인물동향(4월~6월)
    • 2014년 주요인물동향(7월~9월)
    • 2014년 주요인물동향(10월~12월)
  • 18.북한 인물

자료편

2014년 북한 10대 뉴스 북한 인물